이제 막 주식을 시작한 아무 것도 모르는 주린이입니다. 무지성으로 주식 투자가 아닌 투기를 하다가 씨드 다 잃을 것 같아서 주식 공부를 하기로 했습니다. 너무 좋은 차트프로님 유튜브를 발견하고 영상별로 제가 간단히 정리하는 공부노트로 사용하고자 합니다. 초급-차트편 우선 공부해보겠습니다.
#20 추세선 긋기
1. 추세선 긋기
- 기준봉(마디)이 나와야한다.
- 기준마디 시작점에서 시작한다(시종고저) 첫번째 점
- 높아진 저점이 나와야한다 (조정) 두번째 점
- 기준봉 나오면 그을 수 있다 (전 고점을 돌파 or 이전마디 허리돌파) 두번째 점
- 전저점을 이탈하면 추세 끝
- 추세 이탈시 1~5봉 후 되돌림시 유효 **
- 추세는계속 수정 될 수 있다.
- 추세선은 여러개 나올 수 있다.
2. 단기 주 장기 추세선
- 5~20 단기 추세선
- 60 중심으로 추세대를 만들면 주 추세선
- 120 이상을 장기 추세선
*추세선 아래로 하락하면 손절
*추세선 그을때 봉 or 꼬리?
추세선 여러개 긋고 지지받는 선을 주 추세선으로 활용
#21 추세매매 매수 급소자리
상승추세는 추세 하단선이 중요./ 지지선 깨면 익절
하락추세는 추세 상단선이 중요./ 깨면 상승
돌파: 저항선 돌파 후 추세선 지지하고 추세 안 전고점 돌파시 매수
시간차 돌파:
추세돌파+ 시간을 끌면서 추세밖 전고 돌파(2개 이상) -> 돌파시, 돌파 후 눌림시 매수)
60일선 120일선 골든 크로스
익절 원칙
지지라인 밑으로 빠진후 지지라인을 맞고 떨어지면 익절.
#22 추세매매를 꼭 해야하는 이유
내가 하는 매매가 무슨 매매인지 정의할 수 있어야
| 장점 | 단점 | |
| 추세매매 | 수익 날 확률이 높다.  가장 편안한 매매, 안정적 한번에 큰 수익이 날 확률 높다 초보가 하기 좋은 매매  | 
출현 빈도수가 적다 확장형 박스에 취약하다  | 
| 박스매매 | 출현 빈도가 많다. 스릴있고, 재미있다. 물타기를 자주한다.  | 
손절 자주 된다. 큰 수익, 큰 손실 복불복  | 
구분하는게 너무나 중요하다
성향에 맞게 하나만 선택(믹스 x)
단, 초보라면 추세매매부터 익히기
#23 허리를 파악하라
엘리어트 파동(38.2, 50.0, 61.8), 각 자리에서 반등이 나온다.
차트프로는 신뢰하지 않음
Q. 마디허리가 왜 중요한가?
- 확률을 높일 수 있다.
- 매매가 편하다- 손절/ 익절라인이 허리라인으로 확실하기 때문에
(허리찾는것은 기준가편 참조)
허리원칙
- 기준마디가 나와야한다.
- 허리는 두개가 나올수 있다(기준가)
- 허리는 나중에 나올 수 있다. (지지, 저항 자리가 안나오면 알수 없음. 조정시에 알수 있음)
- 허리 이탈 후 직전 고점 돌파하면 지지로 본다.
- 허리 이탈 후 저항 바다으면 깨진 것으로 본다. - 무조건 매도 아님. 타이밍은 나중에 강의
- 허리에서 트랩은 강력한 매수 신호
허리에 대한 오해
- 허리라인의 손절은 두번째 이탈시 해야한다.
- 허리라인까지 안 올 확률이 높다
- 허리라인까지 오는게 좋은 게 아니다
- 허리라인으 ㄴ함부로 깨졌다고 생각하지 마라
#24 매매스타일을 파악하라
*매매스타일 왔다갔다 하지 말 것!! 스타일을 목숨처럼 지키기
단타매매: 스캘핑?으로 볼수도 있음. 5분봉으로 짧게 익절
마디매매: 이전 마디 참고하여 돌파하면 매수 전고점 닿으면 매도하여 한 마디씩 먹는거
추세매매: 추세가 상승함에 따라 컷자리를 올려가면서 매매, 장기로 하게됨
| 단타매매 | 상급자, 차트전문가 | 손익비가 안좋음. 먹을땐 짧게 먹고, 잃을땐 크게잃음  | 
| 마디매매(3분, 5분봉) | 초, 중급자 이상 | 차트 공부하기 좋은 매매 | 
| 추세매매 | 초, 중급자 이상 | 자본금이 클것 | 
'경제지식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콜옵션과 풋옵션, 매력적인 기회 (0) | 2025.03.14 | 
|---|---|
| 네 마녀의 날, 시장의 변동성을 주의해야 하는 이유 (0) | 2025.03.14 | 
| 차트프로 초급-차트편 #매매기법 (0) | 2025.03.11 | 
| 배당주 언제 사고 팔아야 하나요? (0) | 2025.03.07 | 
| 피보나치 되돌림: 기술적 분석의 핵심 도구 (0) | 2025.03.07 |